통신(이해하기 쉽게 인터넷)하는 기기(PC,노트북,핸드폰,태블릿,그 외 통신가능한 모든 기기)라면 반드시 맥 주소(Mac address)라는 것을 가진다. 맥어드레스라고 하기도 하고, 맥주소 혹은 물리적 주소라고도 한다.
(맥 주소는 총 12자리로 구성된다. 예) C0-CC-F8-12-11-01)
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번호처럼 맥 주소도 고유 번호의 성격을 띈다. 따라서, 다른 기기와 맥 주소가 같을 일이 없다. (여담을 잠깐 하자면, 예외적으로 임시로 MAC주소를 변경할 수 있기는하다. 이를 MAC 스푸핑(MAC spoofing)이라고 하는데, 변경이라는 말보다 속인다는 게 정확하겠다. (스푸핑이 패러디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) 네트워크/해킹분야의 용어니 아 그렇구나 하는 정도로만 알면 되겠다. 스푸핑도 MAC에만 한정되지 않고 IP나 DNS(Domain Name System) 등 네트워크 관련된 모든 것이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.)
참고로 기기가 유/무선 통신이 다 가능하다면 맥 주소도 유선/무선 맥 주소를 다 가지게 된다.
맥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처럼 설정앱을 실행시킨다.
설정앱 내 여러 메뉴 중 톱니바퀴 아이콘으로 시작하는 '일반'메뉴로 들어가자.
그리고 이어서 '정보'메뉴로 들어가보자.
그러면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의 기기정보들이 표시되는데,
이 중 Wi-Fi주소라고 되어있는 주소가 바로 해당 기기의 맥 주소(Mac address)다.
(그림 속에서는 고유정보들을 일부러 가렸으니, 오해 없기를 바란다)
다른 운영체제의 MAC주소 확인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.
- 윈도우 : http://ts-study.tistory.com/5
'IT Basic > 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/아이패드 시리얼번호(일련번호) 확인하기 (0) | 2016.03.14 |
---|